A:
이동평균선(Moving Averages, MA)
종류: SMA(단순), EMA(지수), WMA(가중) 등
이유: 추세 방향을 파악하고 지지·저항 구간 설정에 활용
활용: 단기(예: 9~20), 중기(예: 50), 장기(예: 200) 이동평균선 조합으로 골든크로스/데드크로스 신호 확인
RSI(Relative Strength Index)
범위: 0~100, 보통 70 이상 과매수·30 이하 과매도
이유: 모멘텀과 과열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 가능
활용: 추세 확인 후 다이버전스(가격과 RSI의 방향 불일치)로 반전 포착
MACD(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)
구성: 장단기 이동평균선 차이와 시그널선
이유: 추세 전환 및 모멘텀 강도 파악에 탁월
활용: 히스토그램과 시그널선의 교차로 매수/매도 타이밍 포착
볼린저 밴드(Bollinger Bands)
구성: 중심선(SMA)과 표준편차 기반 상·하단 밴드
이유: 변동성 확인 및 과매수·과매도 구간 판단
활용: 밴드 폭 확장 시 추세 발발, 밴드 수축 시 변동성 감소로 돌파 대비
스토캐스틱 오실레이터(Stochastic Oscillator)
구성: %K, %D 두 선
이유: 가격 위치를 기준으로 과매수/과매도 상태를 빠르게 포착
활용: 단기 매매에 유용하며 RSI와 조합 시 신호 신뢰도 향상